|| '''Navigation''' || ["Proe part1 기본설정"] < Previous || Next > ["proe part3 Assembly"] || ---- [[TableOfContents]] == 스케치 명령 == 파일 > 새로만들기 > 스케치 === 선택 === * 선택 / 삭제 : 개체 선택 후 del 눌러서 삭제. ctrl+z 으로 되돌리기 * 변형 : 선의 끝점 잡고 움직이면 길이와 위치 조정, 선분 잡고 움직이면 길이 조정없이 회전만. * 이동 : 선의 끝점 선택해서 빨갛게 된 이후에 좌클릭으로 움직이면 자세와 길이 고정 되면서 위치만 이동 가능. * 치수 이동 * 치수값 수정 === Line === * 선분 * 접선 : 2개의 원이나 arc 필요. 접선에는 T (Tangent?)라는 표시가 생긴다. * 중심선 * 참조선 * 대칭 : 수직, 수평의 중심선을 이용해서 좌우/상하 대칭의 개체를 생성할 수 있다. 대칭 표시는 > < 이다. 또한 중심선을 이용해서 대칭 복사를 할 수도 있다. * 회전축 === 원 === * 접원 : 세개의 모서리가 닿는 원. 양끝단의 선 선택 후 이동하면 반대 위치에도 만들 수 있다. * 타원 : Rx, Ry는 타원 x,y축의 절반 값이다. === Arc === === 필렛 === === point === 참조점으로 활용 == 평면 설정 == === 스케치 평면과 보조 평면의 설정 === * 스케치 평면 : 스케치를 할 평며 * 보조 평면 : 스케치 방향을 나타낸다. 보조평면의 위치 (위, 아래, 왼쪽, 오른쪽)에 따라 스케치할 때의 방향이 바뀌게 된다. 일관성 있는 스케치를 위해서 주의해야 할 부분. attachment:Proe:part1_기본설정:sketch_plane.png == 3차원 명령 == === 밀어내기 === 밀어내기의 방법은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 밀어내기 아이콘 클릭 > 배치 > 정의 > 스케치 평면 선택 >... * 밀어내기 아이콘 클릭 > 그래픽 영역에서 우클릭 > 내부 스케치 정의 > 스케치 평면 선택 아무래도 2번째 방법이 더 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것도 귀찮으면 "맵키"를 이용해서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기능 키에 할당해 놓을 수도 있다. === 3차원 대칭 복사 === 대칭 복사는 주로 평면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복사하는 기능만을 담고 있다. === 편집과 정의 편집 === === 복사와 붙여넣기 특수 기능 === 밀어내기 한 개체를 복사하면서 위치와 각도 또한 조절하려면 "복사 > 붙여넣기 특수"를 이용하면 된다. attachment:special_paste.png === 라운드 === ==== 선택 방법에 따른 라운드 ==== 다음의 방법은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 모서리 1, 라운드 값 1 * 모서리 1, 라운드 값 여러개 : 라운드 > 모서리 선택 후 나타나는 흰색 사각형에서 우클릭 > 반지름 추가 attachment:round_2.png * 모서리 여러개, 라운드 값 1 : ctrl 누른채로 모서리 선택. * 모서리 각각, 라운드 값 각각 : 라운드 > 모서리 선택 > 값 지정 > 다른 모서리 선택 > (이후 반복) * 평면에 속한 모서리 한꺼번에 선택 : 라운드 > 모서리 선택 > 모서리가 포함된 면을 Shift + 선택 ==== ? ==== * 마주보는 두 모서리가 지름이 되는 반구 형태의 라운드 : attachment:whole_round.png * 서로 다른 라운드 값이 만나는 꼭지점 표현 : 기계 설계에서는 주로 'patch'를 이용한다. 꼭지점이 생기는 '교차'는 사용 금지!! attachment:round_patch.png * 커브에 의한 라운드 : attachment:round_spline.png attachment:round_curve.png * 커브에 의한 라운드2 : 안쪽에 완만한 곡선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 ==== 4.0에서 생긴 라운드 ==== * Auto Round : === 모따기 === * D x D : 도면에서 'c5'라고 표시 * D_1 x D_2 * 각도 x D * 45 x D : 도면에서 '45 x D'라고 표시 ==>>> D x D와 45 x D는 직각에서만 같은 모양이 나온다. * 꼭지점 모따기 (유우각 모따기) : 메뉴 > 삽입 > 모따기 > 코너 모따기 선택. 모따기 할 꼭지점이 있는 모서리 선택. 이 때 모서리의 양쪽 끝의 꼭지점에 가까운 곳에 마우스를 찍은 곳이 모따기할 꼭지점으로 선택된다. 이후 첫번째로 선택한 모서리의 모따기 위치를 찍거나 치수로 입력하고, 차례대로 2,3번째의 모서리를 선택하면 모서리 모따기가 종료된다. === 구배 === ==== 기초 ==== 기울일 면 선택 > 구배 아이콘 클릭 > 고정될 모서리가 포함된 평면 선택 > 나타나는 사각 박스로 구배 각도 조절 ==== 기본 ==== 구배 아이콘 클릭 > 대시보드의 참조 클릭 > 구배면 선택 > 구배 경첩 선택 > 분할 분할 1 : 구배 경첩에 의한 분할 attachment:gradient.png 분할 2 : ==== 중급 ==== 분할 3 : 분할 개체에 의한 분할 > 정의 > 스케치 > 분할 개체 생성 (ex : 선) === 홀 === ==== 배치에 의한 구분 ==== 평면에 배치 원기둥에 배치 ==== 형태에 의한 구분 ==== 단순 홀 + 끝각도 + 싱킹/보링 표현 가공 홀 + 관용나사 + 테이퍼 나사 사용자 스케치 홀 === 쉘 === 쉡 두께를 다르게 조절 : 쉘 > 참조 > ... === 리브 === === 드래프트 === === 패턴 === ==== 치수 ==== ctrl을 누른채로 치수를 선택하면 동시에 여러 치수를 적용할 수 있다. attachment:pattern_10.png attachment:pattern_11.png ==== 방향 ==== 각도 치수만 있으면 회전 패턴을 만들 수 있다. ==== 축 ==== ==== 채우기 ==== 스케치 영역만큼 패턴 채우기 ===== 곡면에 대한 채우기 패턴 ===== attachment:pattern_41.png attachment:pattern_42.png attachment:pattern_4.prt ==== 참조 ==== 패턴의 원본을 수정해서, 패턴 전체에 적용되도록 하기. 패턴 원본의 평면에서 밀어내기를 하는데, 기존 참조는 다 지우고 원본 패턴의 모서리를 참조로 잡아야 한다. 이후 추가한 부분을 선택한 채 패턴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참조로 설정된다. attachment:pattern_5.png ==== 커브에 의한 ==== attachment:pattern_6.png ==== 패턴 팁 ==== 두개의 개체에 동시에 패턴을 사용하려면 그룹화를 사용한다. == 데이텀 평면 생성 == 평면의 방향형 확인. 곡면에 접하는 평면 생성 === 데이텀 축 생성 === 메커니즘 구동 시 사용할 조인트의 축을 생성. === 프로이 팁 === * 밀도 값 부여 : 편집 > 셋업 > 물성 ..... 분석 > 물성 > 안경 아이콘 클릭 ....밀도를 바탕으로 한 물성이 계산되어 나옴 * 모델 전체 비율 변경 : 편집 > 모델 배율 > 수치 입력 * 프로이에서 작업한 파일들은 닫아도 메모리 상에서 계속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런 메모리를 비워주기 위해서는 파일 > 지우기 > 표시안된 개체를 사용해야 한다. == 스윕 == === 컷 === 도시락 뚜껑처럼 일정한 궤적을 따라가면서 cut해야하는 부분에 활용. 밀어내기는 치수를 생성하므로 적절하지 않다. attachment:sweep_cut.png == 블렌드 == == 스윕블렌드 == == 헬리컬 스윕 == == 개체의 모자 관계 == 정보 > 모자 관계 모자관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참조 편집 이용 == 관계식 == 1. 치수에 대한 기호를 알아놓는다. (정보>치수전환) 1. 도구 > 관계식에서 식 세우기 == 나사산 표시 == 코스모틱 > 스레드 > 헬리컬 > 컷 == 단면 자르기 == 뷰 > 뷰 관리자 === 반단면 === === 영역 단면 === === 계단 단면 === == 라이브러리 만들기 == 도구 > 패밀리 테이블 > 열 삽입 > 행 삽입 > 확인 attachment:family_table1.png attachment:family_table.png 복사본 저장 > bolt.prt 이후, bolt.prt를 열어보면 아까 입력한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대화창이 출력된다. attachment:family_table2.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