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소개 == MBTI :: Meyers-Briggs Type Indicator(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 인터넷에서 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과 전문기관을 통해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이왕이면 전문기관을 통해서 진단받는 것이 좋다. 10~20명 정도의 단체로 테스트를 받게 되며, 같은 유형이라도 점수에 따라 자신이 어떤 성향을 띄고 있는지 상세하게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INTP라고 해도, 중립 성향일수도 있고 극단적으로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성향은 자신의 집까지 약도 그리기 등의 짤막 테스트를 통해 반대성향과 어떻게 다른지 알아볼 수 있다. 자신이 인식하지 못했던 모습에 놀라게 될 것 이다. ...근데 반론도 만만찮다. '[http://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news&wr_id=1839340 MBTI 검사는 별자리점만큼이나 과학적 근거 없어]'라는 글에도 나와 있듯이, 테스트 결과가 일관적이지 않고 공신력이 없다라고 까고 있다. 실제로 2000년 이후에는 MBTI 관련 논문이 1건도 없다고 한다.[* 출처: http://blog.cyworld.com/lethenote/6562563] 그러나 나는 아직 MBTI만큼 "사람의 성향"을 잘 드러내는 테스트를 본 적이 없다. 10년 동안 정식 테스트 1회, 인터넷에 퍼져있는 간이 테스트를 5회 해 봤는데 결과는 항상 동일했다. 정식 테스트를 통해 내 성향이 한쪽에 얼마나 치우쳤는지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순히 재미로만 끝내기에는 좀 아쉬운 테스트이다. 돈벌이가 되는 만큼 통계적인 데이터도 차곡차곡 쌓이고 있기에, 다른 연구의 밑거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 MBTI 테스트 체험기 == https://lh3.googleusercontent.com/-6eFlKa3PDXY/Th60KcCza8I/AAAAAAAAA5Q/HvGgtRz5uZg/s800/DSCN9801.JPG https://lh6.googleusercontent.com/-jI00JCHEK4k/Th60KQGaUAI/AAAAAAAAA58/U15mcMQzueI/s800/DSCN9802.JPG https://lh5.googleusercontent.com/-oR2BIpuwSIQ/Th60LJ_mcRI/AAAAAAAAA5Y/FAIpRKxYFL4/s800/DSCN9803.JPG https://lh3.googleusercontent.com/-ySgGyBhLODk/Th60LevHxuI/AAAAAAAAA5c/m-NG7JyuH9w/s800/DSCN9804.JPG https://lh6.googleusercontent.com/-Kym1uZjDeBk/Th60LZY6BeI/AAAAAAAAA5g/SxP4ezMa7nc/s800/DSCN9805.JPG https://lh3.googleusercontent.com/-fsebKhM9m6E/Th60MPsk70I/AAAAAAAAA54/2_MjkQx_R7U/s800/DSCN9806.JPG https://lh6.googleusercontent.com/-Qr6PZODvZR0/Th60MDQH0HI/AAAAAAAAA50/tLIyI7h32Oc/s800/DSCN9807.JPG https://lh6.googleusercontent.com/-e3KT5t5C8uc/Th60KNpbPxI/AAAAAAAAA5M/8EirYwW061I/s800/DSCN9800.JPG == 같이 보기 == * Nsmk:"MBTI유형" * Anha:MBTI * [http://thelstream.com/?p=62727 MBTI 직업 총정리] * [http://orumi.egloos.com/4160199 "MBTI" 초록불의 잡학다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