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를 사용합니다. ||로 시작해서 ||로 끝나면 테이블이 되며, 여러개의 셀을 만들기 위해서 여러번 반복하여 ||를 사용하여 각 셀을 나누면 됩니다. 여러개의 컬럼에 걸쳐서 셀을 만들려면 ||를 두번이상 반복해서 |||| 식으로 만들어줍니다.||테이블 시작||제목1||제목2|| ||내용1|||| 두셀에 걸친 내용 || ||내용2||첫번째 셀||두번째 셀||
<...> 형태의 문법으로 || 마크 다음에 바로 붙여서 써주어야 합니다.<|2>: 두줄에 걸쳐서 (rowspan)<#XXXXXX>: 셀 배경색||<tablewidth="100%">...|| 를 테이블 시작을 알리는 맨 처음 || 다음에 써넣으면 되며, 줄의 배경색은 ||<rowbgcolor="#FFFFE0">...|| 와 같이 지정합니다. 여기서 볼 수 있듯이, 테이블에 대한 속성인지, 줄에 대한 속성인지를 알리기 위해 table 혹은 row와 같은 접두어가 붙었습니다.||||||<tablewidth="50%" align="center">'''제목'''|| ||<rowbgcolor="#84ACEA">셀 1||셀2||cell 3|| ||셀 1||||spanning 2 columns||
| 제목 | ||
| 셀 1 | 셀2 | cell 3 |
| 셀 1 | spanning 2 columns | |
| cell 1 | cell2 | cell 3 |
| cell 1 | spanning 2 columns | |
| 혼합 테이블 | |
| 1 | 1-1 |
| 1-2 | |
||셀 1 || 셀 2 || 셀 3||
||왼쪽-정렬 || 가운데-정렬 || 오른쪽-정렬||
좀 더 분명한 설명을 위해서: "공백"은 특별한 의미를 가집니다. 즉,
||셀 1 || 셀 2 || 셀 3||
||왼쪽-정렬<공백>||<공백>가운데<공백>||<공백>오른쪽-정렬||
| 셀 1 | 셀 2 | 셀 3 |
| 왼쪽-정렬<공백> | 가운데<공백> | 오른쪽-정렬 |
| cell 1 | cell 2 | cell 3 |
모니위키 1.2.3부터 공백을 두칸 이상 넣어야 정렬이 지정되게끔 고쳐졌습니다. 예를 들어 가운데 정렬을 지정하려면 양쪽에 공백이 두칸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문자와 내용을 보기좋게 습관적으로 공백을 넣어 띄어쓰는 것을 고려한 것입니다.| 캡션있는 테이블 | ||
| 1 | 1-1 | 1-2 |
| 1-3 | 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