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키와 블로그 통합하기/임시 . . . . 17 matches
=== 모니위키와 텍스트큐브를 설치한다. ===
텍스트큐브는 [http://www.textcube.org/manual/entry/installing-textcube?category=4 이렇게] 설치하면 된다고 합니다.
참고로 모니위키와 텍스트큐브는 일반 PC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웹호스팅 업체에 돈주고 서버공간을 사서 거기에 설치하는 것입니다. 일반 사용자들은 24시간 돌아가는 호스팅 업체의 컴퓨터에 접속해 여러분의 사이트를 열람하는 것이지요.
스킨 만들기 신공이 있으신 분들은 마음에 드는 스킨을 자유자재로 만드시겠지만 텍스트큐브와 모니위키는 스킨 문법도 좀 다르고 해서 여간 복잡한 일이 아닙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일단 제가 쓰는 스킨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 텍스트큐브 ====
저는 텍스트큐브 홈페이지에 올라온 [http://www.textcube.org/theme/entry/CKA-noiyes-bom 이 스킨]을 수정해서 쓰고 있습니다. 깔끔하고 시원한 만큼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스킨이죠.
여기서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푼뒤 폴더째로 tc/skin폴더 아래에 업로드 합니다. 그리고 적용해보세요. (텍스트큐브 스킨 적용은 관리자 메뉴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포인트는 모니위키의 스킨을 최대한 텍스트큐브와 비슷하게 만드는 거랍니다.
==== 텍스트큐브 수정하기 ====
우선 텍스트큐브의 '스킨 편집' 메뉴에서 다음의 부분을 찾아보세요.
아니면 스킨 폴더 안의 skin.html 을 직접 열어서 찾아도 됩니다. 단, 한 번이라도 텍스트큐브의 관리자 패널에서 '스킨 편집'을 하고 저장했다면, 스킨 폴더의 위치가 바뀝니다. 그 경우에 직접 skin.html을 수정하고 싶다면 skin/customize/숫자 로 된 폴더를 찾아보세요. 블로그 스킨에 있는 이미지 파일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속성'으로 들어가보면 변경된 폴더의 위치를 알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을 텍스트큐브에서 수정한 그대로 바꿔 주세요.
주의할 것은, 텍스트큐브에서는 방명록을 링크할 경우 {{{[##_guestbook_link_##]}}}로 하지만, 모니위키에서 할 때에는 {{{http://seereal.org/tt/guestbook}}}와 같이 주소를 직접 링크해주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관리자 화면으로 가는 링크도 텍스트큐브에서는 {{{[##_owner_url_##]}}}, 모니위키에서는 {{{http://seereal.org/tt/owner}}}로 해 주세요. (귀찮으시면 둘다 주소로 해도 됩니다.)
그리고 텍스트큐브의 플러그인 설정에서 이 플러그인을 켜 주세요.
플러그인이 잘 적용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텍스트큐브의 글쓰기 버튼을 누른뒤 아무 단어에나 대괄호로 감싸보세요. 그리고 저장을 누른 뒤 블로그에서 해당 글을 열어봅니다. 대괄호는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링크가 걸려 있습니까? 링크를 눌러보세요. 위키 페이지로 가나요? 축하합니다. 이제 거의 다 됐습니다.
우선 텍스트큐브의 [http://www.textcube.org/plugin/546 랜덤문구 출력 플러그인]을 쓰는 방법이 있습니다. 저기서 파일을 다운받은 후 tc/plugins 폴더 아래에 폴더째로 올리고 플러그인을 켜 줍니다.
- 어떤 블로그 툴이 가장 좋을까? . . . . 10 matches
=== 텍스트큐브 (구 테터툴즈) ===
국내 유일무이 설치형...아니 텍스트큐브가 있으니 국내 최초의 설치형 블로그 툴. 설치형이라 다양한 플러그인을 맘껏 사용할 수 있고, 티스토리처럼 다음의 눈치를 보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별개의 ["호스팅 서비스"]를 개인 사비로 미리 준비해야 한다는 점이 좀 귀찮다.
* 설치형 블로그인 텍스트큐브와 서비스형 블로그인 텍스트큐브닷컴은 엄연히 다르다. [[BR]]
*'''텍스트큐브'''는 블로그를 설치할 수 있는 웹계정이나 서버가 있다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플러그인과 자유로운 스킨편집으로 자신만의 공간을 꾸려나갈 수 있는 막강한 블로그 툴이 바로 텍스트큐브이다. 다만 웹계정의 경우 이용금액에 따라 1일 트래픽 / 파일 업로드 공간 등의 제한이 있으며, 서버의 경우에는 도메인 등록 비용과 서버 전기세를 부담해야한다. [[BR]]
*'''텍스트큐브닷컴'''은 이글루스, 티스토리와 같은 서비스형 블로그로 서비스에 가입만 하면 간단하게 블로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현재는 초대장이 있어야 가입할 수 있다.) 아직 스킨 편집과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없으며,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스킨을 선택하거나 위젯/스크립트를 사이드바에 삽입하는 것만 가능하다. 관심블로그, 관심블로그 알리미, 추천 관심블로그 등의 SNS 메뉴를 통해 같은 텍큐닷컴 이용자끼리 쉽게 교류할 수 있다.
* 구글에 인수되어 2009.08.01 현재 구글 전체 서비스 목록에서 텍스트큐브를 확인할 수 있다. 차후 다양한 구글 서비스와의 연계가 기대된다. 그런데 구글에서 자체적으로 서비스하는 Bloger와 텍스트큐브의 관계는 어떻게 될 것인가?
* 2010년에 결국 텍스트큐브닷컴이 Google Bloger에 흡수된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하지만 아직도 흡수통합은 진행되고 있지 않다.
- FFcomputing . . . . 4 matches
PHP 버전이 높아서 모니위키, 미디어위키, 도쿠위키 등의 위키를 테스트해볼 수 있다. 그와 더불어 텍스트큐브, 워드프레스, 제로보드 등도 잘 설치된다.
텍스트큐브에서는 throtle_me를 이용한 트래픽보기 플러그인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FFcomputing의 시스템에서는 [[mod_cband]]라는 트래픽 관리 모듈을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없다. mod_cband에서는 사이트 이름 뒤에 'cband-status-me'를 붙이면 개인 사용자별 트래픽 사용량을 알 수 있다.
=== 텍스트큐브 설치 후 traffic 페이지를 열람할 수 없는 문제 ===
[http://ffhosting.net/faq/24325 FAQ. 텍스트큐브를 사용중인데 트래픽 보기가 되지 않아요.]
- 블로그 . . . . 4 matches
* [["텍스트큐브/이미지 외부 링크 막기"]]
* [http://mooo.egloos.com/191991 박스 태그 - 만든 스킨을 사용할 경우] : [[텍스트큐브]] 위지웍 편집기에서 박스태그를 사용할 수 있지만, [[Windows Live Writer]]를 사용할 경우에는 불편하다. 직접 html을 편집할 때 사용하면 유용.
1. [[텍스트큐브]] → WordPress 데이터 이전
1. 텍스트큐브 데이터를 워드프레스로 완전히 이전 (이미지 및 첨부파일 포함, 약 160MB)
- WordPress . . . . 3 matches
외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설치형 블로그 툴. 깔끔하며, 테터툴즈 / 텍스트큐브 / 티스토리 등에는 없는 재미있고 유용한 플러그인이 많다. 대부분의 메뉴가 영어라서 한국 사용자들이 접근하기가 좀 어렵다. 그걸 보완하기 위해 필수 플러그인이 포함된 비공식 한글판을 [http://innis.kr/wordpress/?cat=3#.Tzh-GqhtjCE iNNiS.KR]에서 배포하고 있다. 정식 한글판은 [http://ko.wordpress.org/ 워드프레스 공식 한국어] 페이지에서 받을 수 있지만, 버전 반영이 좀 느리다.
* 이사 도구 : [[텍스트큐브]] → 워드프레스 ([http://code.google.com/p/wordpress-ttxml-importer/downloads/list 워드프레스 티스토리/텍스트큐브 이사도구 다운로드]). 댓글까지 완벽하게 데이터를 이전할 수 있지만, 고유링크(퍼머링크)가 전부 바뀐다.
- Bliki . . . . 2 matches
--Memorecycle.com에서는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텍스트큐브]] + [[BlikiLink]] plugin + [[모니위키]])-- 블로그는 접었다.
1. [[BlikiLink]] : [[텍스트큐브]] Plugin
- MemoRecycle . . . . 2 matches
|| 2010.xx || 텍스트큐브, 모니위키 운영 시작 ||
|| 2012.02 || 텍스트큐브에서 워드프레스로 데이터 이전 (주소 변경) ||
- Tistory . . . . 2 matches
설치형 블로그 툴인 Anha:"태터툴즈"를 이용해서 WikiPediako:"다음"에서 만든 두 번째[* 첫 번째는 개인이 운영하던 이노리(innori)였다. 티스토리가 만들어진 후에 흡수통합되었다.] Anha:"서비스형 블로그". 가입하려면 초대장이 있어야 하며, 각종 메타서비스에 가입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허허벌판과 같은 적막함을 느낄 수 있는 곳이지만 일단 적응하면 참 좋은 곳이다.[텍스트큐브](구 테터툴즈)와 뿌리가 같기에 데이터가 상호 호환된다. 그래서 티스토리에서 텍스트큐브로 옮기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많다.
- 위키와 블로그 통합하기 . . . . 2 matches
* --[http://seereal.org/wiki/wiki.php/ CAMP SeeReal] : 텍스트큐브와 모니위키의 절묘한 조합--
'''[[Date(2010-01-17T03:35:49)]]''' 현재 블로그와 위키를 하나의 호스팅 서비스에 설치하고, 블로그에는 위키 링크 플러그인도 삽입해 놓았다. 이제 테마만 수정하면 된다. 일단 마음에 드는 텍스트큐브 스킨을 선택한 다음, 모니위키 테마를 여기에 어울리게 뜯어고쳐야 하는데, 생각보다 쉽지 않다. 차라리 Frameset을 이용해서 사이트를 통합해 버릴까?
- BlikiLink . . . . 1 match
[[블로그]]에서 위키로의 링크를 쉽고 편하게 생성하기 위해서 만든 [[텍스트큐브]] 플러그인.
- LibreOffice . . . . 1 match
--[http://openoffice.or.kr/ 오픈 오피스 한국어 커뮤니티]-- 2011.01에 OpenOffice 개발진 대부분이 독립해서, LibreOffice를 개발했다. OpenOffice와 LibreOffice의 기능은 거의 동일하다. 하지만 OpenOffice 소유권은 오라클이 가지고 있기에, 점차 다른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테터툴즈 계열의 [[텍스트큐브]]와 [[티스토리]]와 비슷한 모습이 되지 않을까?]
- Starhost . . . . 1 match
1. PHP 5.2.14를 채택하여 최신 Web App[* 텍스트큐브 1.8.4, 워드프레스 등]을 설치할 수 있음 + [http://www.starhost.co.kr/xe/hosting_notice/136131 지속적인 업데이트]
- WindowsLiveWriter . . . . 1 match
[[블로그]] 전용 WikiPediako:위지윅 에디터. 에디터 기능이 미약한 [[텍스트큐브]] 사용자에게 꼭 필요한 프로그램이다.
- 스프링노트 . . . . 1 match
스프링 노트에서 작성한 글을 [[블로그]]로 전송하는 기능은 상당히 쓸만하다. 그리고 스프링노트에서 사용하고 있는 위지웍 에디터는 [[텍스트큐브]]에도 플러그인 형태로 포함되어 있다.
- 우분투 8.04에 오피스 2007 설치하기 . . . . 1 match
1. 이제 mht파일로 저장이 가능하며, '블로그에 게시'를 선택했을 경우 작성한 게시물과 이미지가 Word로 잘 넘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티스토리와 텍스트큐브의 blog api가 등록이 되지 않아 원격 블로깅은 할 수 없게 된다.
- 텍스트큐브 . . . . 1 match
[[한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블로그]] 툴. See also : Anha:텍스트큐브
- 텍스트큐브/워드프레스로 이전하기 . . . . 1 match
[[텍스트큐브]] 페이지로 돌아가기.
Found 17 matching pages out of 799 total pages (0 pages are searched)
You can also click here to search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