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특징 ¶
- Version control : 수정 내역은 모두 저장되어, 필요할 때 참고하거나 손쉽게 되살릴 수 있다.
- 쉽고 편리한 위키 문법 : 위지윅 에디터가 일반화된 요즘 인터넷 환경에서는 빛이 바랬지만, 그래도 HTML Raw code에 비하면 정말 쉽다. 그리고 서식이 단순하기에 글 모양보다는 글 내용에 더 집중할 수 있다.
모니위키 문법[1] HTML 실제 출력 화면 http://hosting.ncity.net/
<a class='externalLink' href='http://hosting.ncity.net/' target="_blank">http://hosting.ncity.net/</a>
http://hosting.ncity.net/ [호스팅 서비스] 신생 업체.
<a href='/wiki/호스팅%20서비스' title="호스팅 서비스" >호스팅 서비스</a> 신생 업체.
호스팅 서비스 신생 업체. - 누구나 참여 가능 : 기본적으로 누구나 접근해서 문서를 생성/수정할 수 있다.
위키백과, 엔하위키의 원동력이다.
- 인터넷만 있으면 ok! : 인터넷 접속 회선과 PC만 있다면, 언제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다.
- USB에 휴대 가능 : 일부 위키의 경우 USB에 휴대가 가능한 버전을 배포하고 있다.
----
- [1] 위키 문법은 다 조금씩 다르지만, 구현 방식은 비슷하다.
4.2.1. 삽질은 나의 힘, 모니위키 ¶
-초보자가 적응하기 쉽고,- 쉽다는 것은 다 옛말이다. 노스모크가 한국에서 사용자 수를 늘리기 시작했을 때, 위키 운영자들은 PHP, HTML을 어느정도 잘 알고 있으며, 리눅스 사용경험이 있었다. 그리고 다른 위키는 상대적으로 설치 및 세팅이 무지 어려웠다. 그 덕분에 모니위키가 초보자에게도 쉽다고 널리 알려질 수 있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USB로 휴대가 가능한 도쿠위키, 서비스에 가입만 하면 사용할 수 있는 스프링노트, 구글 사이트 등의 편리한 위키가 등장했다. ...그러나 모니위키의 발전은 더디다. 모니위키에 환상을 가지고 있는 당신! 설마 엔하위키가 모니위키를 사용한다고, 자기도 그렇게 멋진 사이트를 만들 수 있다고 착각하는 것은 아니겠지? 참고로 모니위키 운영자는 모니위키 테마 수정은 물론이고, 새로운 기능을 만들어 내고, 아예 위키 엔진을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는 능력자다.
뭐, 좋다. 그런 능력이 없어도 모니위키 운영에는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문제 해결, 내 입맛에 맞게 테마 수정, 플러그인 활용 등의 삽질을 할 자신이 없다면 과감하게 모니위키를 포기하고 도쿠위키나 미디어위키를 써라. 지금까지 모니위키 써보겠다고 덤볐다가 다른 걸로 갈아탄 사람을 많이 봤다.
그리고 페이지별 토론 기능이 없기에 소규모를 벗어난 위키 운영 시 애로사항이 많다. 엔하위키의 경우에는 별도의 위키방이라는 토론공간을 마련하고 있지만, 사실 많이 불편하다. 토론 기능이 필요하다면 미디어 위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2.2. 깔끔하고 편리한 도쿠위키 ¶
깔끔하다. 그리고 테마도 그럴듯하다. 거기에 세계 사용율 1위라는 뭔가 있어보이는 안정감까지! 플러그인이 다채롭고 사용방법이 쉽다. 필요한 플러그인 zip 파일을 다운받아서, 특정 위치에 압축을 해제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초보자에게 가장 추천하고 싶은 위키 엔진. 페이지를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는 것은 모니위키와 같다. 그리고 신기하게도 모니위키에서 삽질하다가 지친 사람들이 도쿠위키에 정착하는 경우가 많더라.
4.3. 웹 서비스형 ¶
뭔가 설치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면, 블로그 처럼 이미 업체가 마련해 놓은 공간에 입주할 수도 있다. 편리하지만, 제약조건이 많고 서비스가 종료할 경우 데이터 이전이 어렵다.
5. 위키 종류 ¶
- 모니위키
- ConfluenceWiki
- Dekiwiki
- DokuWiki
- MediaWiki
- PmWiki
- ScrewTurnWiki
- TikiWiki
- WikiMatrix : 전세계 위키 비교 사이트
7. 기타 의견 ¶
tiddlywiki도 추가해 주시면 어떨까요? 개인이 PC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위키중에서 가장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키인 것 같습니다. 위키로서의 기능은 많이 부족하기는 하지만 혼자 쓰는 용도로는 크게 부족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 칼킨 2012-09-21
관련 내용을 좀 정리해 봐야겠습니다. 사용해본지 오래되어, 지금은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궁금하네요.
사실 별로 발전된 것은 없는 것 같습니다. 여러 플러그인을 통해서 부족한 기능을 보완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위키의 가장 중요한 기능중 하나인 version control이 지원되지 않는다는 것이 많이 아쉬운 점이더군요. version control이 지원되는 패치 버전을 찾았는데, 그것이 파이어폭스에서만 정상 작동하더라구요. 그래도 개인용으로 자료 정리하는 정도로 사용한다면 만족스럽게 쓸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칼킨 2012-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