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개 ¶
하와이어로 '빨리 빨리'라는 의미를 가진 위키위키(wikiwiki) - 줄여서 위키(wiki)는 간단한 위키 문법을 이용하여, 불특정 다수가 웹페이지를 작성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아래 링크에서 위키의 특징과 장점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 http://www.commoncraft.com/video-wikis-plain-english : 위키의 최대 장점인 협업을 그림으로 잘 나타내고 있다.
- 위키위키의 특징을 한 눈에 보여주는 스프링 노트 홍보 동영상
2. 특징 ¶
- 페이지 버전 관리 : 페이지를 수정할 때마다 그 내역을 모두 저장한다. 페이지를 누군가 훼손하거나 삭제하더라도 손쉽게 복구가 가능하다. [1]
- 위키 네임(WikiName)[2]을 이용한 위키 링크(WikiLink)
- 누구나 자유롭게 편집[3]
- 보다 더 쉽고 깔끔한 위키문법 : 별도의 위지윅 에디터가 없어도 편리하게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위키문법이 지원하지 않는 영역은 HTML을 사용해서 표현할 수 있다. 스프링노트처럼 위키문법을 사용하지 않고, 위지윅 에디터만 제공하는 유사 위키 서비스도 있다.
모니위키 문법[4] HTML 실제 출력 화면 http://hosting.ncity.net/
<a class='externalLink' href='http://hosting.ncity.net/' target="_blank">http://hosting.ncity.net/</a>
http://hosting.ncity.net/ [["호스팅 서비스"]] 신생 업체.
<a href='/wiki/호스팅%20서비스' title="호스팅 서비스" >호스팅 서비스</a> 신생 업체.
호스팅 서비스 신생 업체.
- 인터넷을 통해 Windows, MacOS, Linux, 안드로이드 등의 다양한 os에서 위키에 접근할 수 있다.
- 서버 구축을 할 수 없거나, 개인적으로 사용할 사람들을 위해 개인 PC에 설치할 수 있는 위키위키 툴이 배포되고 있다. 도쿠위키 같은 경우는 USB에 넣어서 들고 다닐 수도 있다.
----
3. 한계 ¶
- 편집이 자유롭기에, 악의를 가지고 내용을 훼손할 수 있다.
- 시스템이 페이지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정리해 주진 않으므로, 참여자들이 적극적인 위키 관리가 필요하다. 1인 위키의 경우 관리의 어려움 때문에 조용히 사라지곤 한다.
- 동시 편집 시 충돌 발생 : 구글 문서도구나 스프링노트처럼 동시 편집을 제공하지 않는다. 충돌 시 편집했던 내용이 삭제될 수도 있다.
- 한국인은
제로보드 특유의 게시판 시스템에 길들여져 있다. 굳이 불편함을 감수하면서 위키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엔하위키를 통해서 위키의 깨알같은 재미를 느낀 사람은 많지만, 참여보다는 멀찍이 떨어져서 감상만 하는 경우가 많다.
4.2.1. 삽질을 좋아하는 소규모 사용자를 위한 모니위키 ¶
-초보자가 적응하기 쉽고,- 솔직히 쉽다는 것은 다 옛말이다. 노스모크가 한국에서 사용자 수를 늘리기 시작했을 때, 위키 운영자들은 PHP, HTML을 어느정도 잘 알고 있으며, 리눅스 사용경험이 있었다. 그리고 다른 위키는 상대적으로 설치 및 세팅이 무지 어려웠다. 그 덕분에 모니위키가 초보자에게도 쉽다고 널리 알려질 수 있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USB로 휴대가 가능한 도쿠위키, 서비스에 가입만 하면 사용할 수 있는 스프링노트, 구글 사이트 등의 편리한 위키가 등장했다. ...그러나 모니위키의 발전은 더디다. 모니위키에 환상을 가지고 있는 당신! 설마 엔하위키가 모니위키를 사용한다고, 자기도 그렇게 멋진 사이트를 만들 수 있다고 착각하는 것은 아니겠지? 참고로 모니위키 운영자는 모니위키 테마 수정은 물론이고, 새로운 기능을 만들어 내고, 아예 위키 엔진을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는 능력자다.
뭐, 좋다. 그런 능력이 없어도 모니위키 사용에는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문제 해결, 내 입맛에 맞게 테마 수정, 플러그인 활용 등의 삽질을 할 자신이 없다면 과감하게 모니위키를 포기하고 도쿠위키나 미디어위키를 써라. 지금까지 모니위키 써보겠다고 덤볐다가 다른 걸로 갈아탄 사람을 많이 봤다.
그리고 페이지별 토론 기능이 없기에 소규모를 벗어난 위키 운영 시 애로사항이 많다. 엔하위키의 경우에는 별도의 위키방이라는 토론공간을 마련하고 있지만, 사실 많이 불편하다. 토론 기능이 필요하다면 미디어 위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2.2. 깔끔하고 편리한 도쿠위키 ¶
깔끔하다. 그리고 테마도 그럴듯하다. 거기에 세계 사용율 1위라는 뭔가 있어보이는 안정감까지! 플러그인이 다채롭고 사용방법이 쉽다. 필요한 플러그인 zip 파일을 다운받아서, 특정 위치에 압축을 해제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초보자에게 가장 추천하고 싶은 위키 엔진. 페이지를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는 것은 모니위키와 같다. 그리고 신기하게도 모니위키에서 삽질하다가 지친 사람들이 도쿠위키에 정착하는 경우가 많더라.
6. 기타 의견 ¶
tiddlywiki도 추가해 주시면 어떨까요? 개인이 PC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위키중에서 가장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키인 것 같습니다. 위키로서의 기능은 많이 부족하기는 하지만 혼자 쓰는 용도로는 크게 부족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 칼킨 2012-09-21
관련 내용을 좀 정리해 봐야겠습니다. 사용해본지 오래되어, 지금은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궁금하네요.
사실 별로 발전된 것은 없는 것 같습니다. 여러 플러그인을 통해서 부족한 기능을 보완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위키의 가장 중요한 기능중 하나인 version control이 지원되지 않는다는 것이 많이 아쉬운 점이더군요. version control이 지원되는 패치 버전을 찾았는데, 그것이 파이어폭스에서만 정상 작동하더라구요. 그래도 개인용으로 자료 정리하는 정도로 사용한다면 만족스럽게 쓸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칼킨 2012-09-22
----
- [5] 모니위키에서도 블로그 기능을 사용할 수는 있지만, 유즈모드 위키보다 불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