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s Wiki #alias 위키, Wiki [[목차]] == 소개 == 하와이어로 '빨리 빨리'라는 의미를 가진 위키위키(wikiwiki) - 줄여서 위키(wiki)는 간단한 위키 문법을 이용하여, 불특정 다수가 웹페이지를 작성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아래 링크에서 위키의 특징과 장점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1. http://www.commoncraft.com/video-wikis-plain-english : 위키의 최대 장점인 협업을 그림으로 잘 나타내고 있다. 1. [http://www.springnote.com/ko/video 위키위키의 특징을 한 눈에 보여주는 스프링 노트 홍보 동영상] == 특징 == 1. 페이지 버전 관리 : 페이지를 수정할 때마다 그 내역을 모두 저장한다. 페이지를 누군가 훼손하거나 삭제하더라도 손쉽게 복구가 가능하다. [* [스프링노트]와 같은 유사 서비스도 버전관리가 가능] 1. 위키 네임(WikiName)[* CamelCase(낙타표기)라고도 불린다.]을 이용한 위키 링크(WikiLink) 1. 누구나 자유롭게 편집[* 페이지 별로 편집 및 보기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1. [[HTML]]보다 더 쉽고 깔끔한 위키문법 : 별도의 위지윅 에디터가 없어도 편리하게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위키문법이 지원하지 않는 영역은 HTML을 사용해서 표현할 수 있다. [[스프링노트]]처럼 위키문법을 사용하지 않고, 위지윅 에디터만 제공하는 유사 위키 서비스도 있다. || 모니위키 문법[* 위키 문법은 다 조금씩 다르지만, 구현 방식은 비슷하다.] || HTML || 실제 출력 화면 || ||{{{http://hosting.ncity.net/}}} ||{{{http://hosting.ncity.net/}}} ||http://hosting.ncity.net/ || ||{{{[["호스팅 서비스"]] 신생 업체.}}} ||{{{호스팅 서비스 신생 업체.}}} ||[["호스팅 서비스"]] 신생 업체. || 1. 인터넷을 통해 [Windows], MacOS, [Linux], [[안드로이드]] 등의 다양한 os에서 위키에 접근할 수 있다. 1. [[서버]] 구축을 할 수 없거나, 개인적으로 사용할 사람들을 위해 개인 PC에 설치할 수 있는 위키위키 툴이 배포되고 있다. [[도쿠위키]] 같은 경우는 USB에 넣어서 들고 다닐 수도 있다. [[각주]] == 한계 == 1. 편집이 자유롭기에, 악의를 가지고 내용을 훼손할 수 있다. 1. 시스템이 페이지를 {{{{color:red}자동으로}}} 분류하고 정리해 주진 않으므로, 참여자들이 적극적인 위키 관리가 필요하다. 1인 위키의 경우 관리의 어려움 때문에 조용히 사라지곤 한다. 1. 동시 편집 시 충돌 발생 : 구글 문서도구나 [[스프링노트]]처럼 동시 편집을 제공하지 않는다. 충돌 시 편집했던 내용이 삭제될 수도 있다. == 어떤 위키엔진이 좋을까? == === PC 기반 === 인터넷에 공개되지 않고, 혼자만의 위키를 사용하고 싶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런 사람들에게는 [http://bitnami.org/ bitnami]를 추천한다. 원클릭 설치만으로 [http://bitnami.org/stack/dokuwiki 도쿠위키], [http://bitnami.org/stack/mediawiki 미디어위키]를 사용할 수 있다. === Web 기반 === ==== 삽질을 좋아하는 소규모 사용자를 위한 [[모니위키]] ==== ---초보자가 적응하기 쉽고,--- 솔직히 쉽다는 것은 다 옛말이다. [[노스모크]]가 한국에서 사용자 수를 늘리기 시작했을 때, 위키 운영자들은 PHP, HTML을 어느정도 잘 알고 있으며, 리눅스 사용경험이 있었다. 그리고 다른 위키는 상대적으로 설치 및 세팅이 무지 어려웠다. 그 덕분에 모니위키가 초보자에게도 쉽다고 널리 알려질 수 있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USB로 휴대가 가능한 도쿠위키, 서비스에 가입만 하면 사용할 수 있는 [[스프링노트]], 구글 사이트 등의 편리한 위키가 등장했다. ...그러나 모니위키의 발전은 더디다. 모니위키에 환상을 가지고 있는 당신! 설마 [[엔하위키]]가 모니위키를 사용한다고, '''자기도 그렇게 멋진 사이트를 만들 수 있다고 착각하는 것은 아니겠지?''' 참고로 모니위키 운영자는 모니위키 테마 수정은 물론이고, 새로운 기능을 만들어 내고, 아예 위키 엔진을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는 능력자다. 뭐, 좋다. 그런 능력이 없어도 모니위키 사용에는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문제 해결, 내 입맛에 맞게 테마 수정, 플러그인 활용 등의 삽질을 할 자신이 없다면 과감하게 모니위키를 포기하고 도쿠위키나 미디어위키를 써라. {{{{color:red}지금까지 모니위키 써보겠다고 덤볐다가 다른 걸로 갈아탄 사람을 많이 봤다.}}} 그리고 페이지별 토론 기능이 없기에 소규모를 벗어난 위키 운영 시 애로사항이 많다. [[엔하위키]]의 경우에는 별도의 위키방이라는 토론공간을 마련하고 있지만, 사실 많이 불편하다. 토론 기능이 필요하다면 미디어 위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개발자가 자주 잠수를 타며, 메뉴얼이 제대로 정리되지 않았다는 게 문제지만, 적응만 하면 정말 편하다. 각 페이지가 텍스트 파일로 저장되기에 백업 및 복구도 수월하다. 몇 만 페이지의 대규모 위키에서는 검색이 원활하지 않다는 것만 주의하자.-- (모니위키 사이트 : Nsmk:"노스모크", Anha:"엔하위키") ==== 깔끔하고 편리한 도쿠위키 ==== 깔끔하다. 그리고 테마도 그럴듯하다. 거기에 세계 사용율 1위라는 뭔가 있어보이는 안정감까지! 플러그인이 다채롭고 사용방법이 쉽다. 필요한 플러그인 zip 파일을 다운받아서, 특정 위치에 압축을 해제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초보자에게 가장 추천하고 싶은 위키 엔진. 페이지를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는 것은 모니위키와 같다. 그리고 신기하게도 모니위키에서 삽질하다가 지친 사람들이 도쿠위키에 정착하는 경우가 많더라. (도쿠위키 사이트 : [["메아리 풉;"]], [http://vaslor.net/ VASLOR.NET]) ==== 위키피디아도 이걸 쓴다고?!, 미디어 위키 ==== 좀 더 규모가 크고, 체계적인 위키를 운영하려면 [[미디어위키]]가 좋다. 저사양 서버에서 돌리기에는 좀 버겁지만, 기본 기능이나 플러그인은 다른 위키엔진을 뛰어넘는다. 어느정도 덩치를 가진 커뮤니티에서 운영할 거라면 이걸 쓰는 게 낫다. (미디어위키 사이트 : WikiPediako:"위키피디아") ==== 전문가를 위한 위키, 유즈모드위키 ==== 위키/블로그[* 모니위키에서도 블로그 기능을 사용할 수는 있지만, 유즈모드 위키보다 불편하다.]/트위터 연동 등을 위키엔진 하나로 처리하고 싶다고? 그렇다면 Google:"유즈모드 위키"를 사용하자. 유즈모드 위키 사용자 중에는 프로그래머들이 다수 있어서, 원하는 기능은 뚝딱뚝딱 만들어서 사용한다고 한다;; 속도도 모니위키보다 빠르다. 단, CGI를 지원하는 호스팅 서비스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아, 중요한 거 빼먹을 뻔 했네. 모니위키보다 더한 삽질을 각오할 것! (유즈모드 위키 사이트 : [http://jof4002.net/ 조프 위키]) == 같이 보기 == * [WikiPedia:Wikiwiki], [KLDPWiki:위키위키], [Anha:위키위키] * [http://pub.mearie.org/%ED%95%9C%EA%B5%AD%EC%96%B4%EC%9C%84%ED%82%A4%EC%9D%98%EC%97%AD%EC%82%AC 한국어 위키의 역사] * [http://www.hani.co.kr/section-021003000/2007/08/021003000200708090672056.html 위키위키로 업그레이드 해볼까] * [http://janice.kaist.ac.kr/~gomeisa/blog/?p=173 소그룹의 위한 위키 추천] * [http://www.hani.co.kr/section-021003000/2007/08/021003000200708090672037.html 위키에 정원을 가꾸다 한겨레21] * [http://news.hallym.ac.kr/news/articleView.html?idxno=5499 (보도) 원활한 정보 소통을 위해 필요한 위키의 기능] * [http://news.hallym.ac.kr/news/articleView.html?idxno=5474 (기획) 웹 2.0 시대의 선두주자, 위키란 무엇인가?] * [http://news.hallym.ac.kr/news/articleView.html?idxno=5475 (기획) 조원들 간의 시간 활용을 극대화시키는 위키] * [http://news.hallym.ac.kr/news/articleView.html?idxno=5523 (기획) 넓고 깊은 위키의 활용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