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1.3 and the current
@@ -1,18 +1,21 @@
#title 위키는 어렵다
[[TableOfContents]]
#keywords Wiki
[[목차]]
== 위키는 어렵다?! ==
== 왜 어려울까? ==
[[위키]]는 [http://keizie.net/moniwiki/wiki.php/%C0%A7%C5%B0%C0%A7%C5%B0%C0%CE%C5%CD%C6%E4%C0%CC%BD%BA?action=highlight&value=RecentChanges 위키위키인터페이스]에 나와 있는 것처럼, 다음의 4가지 기술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1. 페이지 생성 및 편집 지원
1. RecentChanges를 위시한 페이지 나열 매크로
1. 편집간 diff 산출
1. TwinPages:WikiName과 강제 링크 기능으로 (HTML 태그에 비해) 편리한 링크 구축
1. WikiName과 강제 링크 기능으로 (HTML 태그에 비해) 편리한 링크 구축
== 위키가 어려워 보이는 이유 ==
== 이유 ==
[[모니위키]]를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4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1. 위키 문법이 HTML보다 쉽다고는 하지만, 일반인들은 HTML을 직접 다루는 대신 위지윅 에디터를 사용한다.
1. 아이콘이나 링크로 구현되어 있지 않은 Action은 사용자가 일일이 타이핑해서 수행해야 한다.
1. 뭔가 기능이 많이 있지만, 찾아서 사용하려면 검색이 필수! 그나마 설명서가 만들어져 있으면 다행이지만, 영어로만 씌여져 있거나 위키를 설치한 호스팅 서버에서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1. 스프링노트같은 서비스형 위키(?)는 그냥 가입 후 이용하면 장땡이지만, 일반적인 설치형 위키는 설치항 호스팅 서비스 알아보기 > 모니위키 설치 > 초반 세팅 > 사용 방법 익히기 등의 귀찮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1. 위키 문법이 [[HTML]]보다 쉽다고는 하지만, 일반인들은 HTML을 직접 다루는 대신 위지윅 에디터를 사용한다.
1. 다수의 Action은 command line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다.
1. 내장된 기능, 플러그인등이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공부하듯이 일일이 찾아봐야 한다. 그나마도 제대로 된 문서가 없는 경우가 많다.
1. 스프링노트같은 서비스형 위키(?)는 그냥 가입 후 이용하면 장땡이지만, 일반적인 설치형 위키는 설치항 호스팅 서비스 알아보기 > 모니위키 설치 > 초반 세팅 > 사용 방법 익히기 등의 귀찮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한번에 잘 되리란 법도 없다.
== 같이 보기 ==
* [모니위키/진입장벽]
1. 왜 어려울까? ¶
- 페이지 생성 및 편집 지원
- RecentChanges를 위시한 페이지 나열 매크로
- 편집간 diff 산출
- WikiName과 강제 링크 기능으로 (HTML 태그에 비해) 편리한 링크 구축
2. 이유 ¶
모니위키를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4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 위키 문법이 보다 쉽다고는 하지만, 일반인들은 HTML을 직접 다루는 대신 위지윅 에디터를 사용한다.
- 다수의 Action은 command line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다.
- 내장된 기능, 플러그인등이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공부하듯이 일일이 찾아봐야 한다. 그나마도 제대로 된 문서가 없는 경우가 많다.
- 스프링노트같은 서비스형 위키(?)는 그냥 가입 후 이용하면 장땡이지만, 일반적인 설치형 위키는 설치항 호스팅 서비스 알아보기 > 모니위키 설치 > 초반 세팅 > 사용 방법 익히기 등의 귀찮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한번에 잘 되리란 법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