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유료 호스팅 ==
https://www.ivyro.net/html/webht/unlimited/
== 무료 호스팅 ==
* 신청 주소: http://www.ivyro.net/html/webht/free/
* 상세
1. [[리눅스]] (CentOS 7.x)[* 신청 페이지에는 OS 정보는 생략되어 있으나, SSH로 접속한 뒤 "cat /etc/*-release | uniq"를 때려넣으면 정보를 알 수 있다.] / Apache 2
1. UTF-8 / PHP 7.2 / MariaDB(MySQL) 10.1 innoDB
1. UTF-8 / PHP 5.6 / MySQL 5.6
1. EUC-KR / PHP 5.2 / MySQL 5.1
1. 용량 100MB ([SSD]), DB 10MB, 일일 트래픽 100MB (텍스트 위주의 개인 [[위키]]를 운영하는 데 딱 좋다.)
1. 이용기간: 6개월. 무료 갱신 가능 (만료일로부터 15일 경과시 계정 삭제 / 복구불가)
== RCS 사용자 설치 ==
[[무료 호스팅]] 서버에는 RCS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사용자에게는 설치 권한이 없으므로 [[모니위키]]에 기본으로 포함된 rcslite를 쓰는 게 최선이다. 서버 버전에 맞는 RCS 파일을 가져와서 쓰는 방법도 시도해봤으나, '''에러가 발생하여 [[서버]] 중도 실패했다. 관리자는 추가 프로그램 설치는 어렵다고 답변했다.'''
1. --CentOS RCS 직접 설치: [http://landoflinux.com/linux_rcs_revision_control_system.html 참고]-- 프로그램 설치 권한이 없으므로 Fail
1. RCSlite 활성화: config.php를 열어, #$version_class='RcsLite'; 앞의 주석 표시(#)를 삭제한뒤 저장한다.
1. RCS 실행 파일을 직접 서버에 업로드
1. 다운로드: [http://pkgs.org/centos-7/centos-x86_64/rcs-5.9.0-5.el7.x86_64.rpm.html RCS 최신버전]을 Windows에 직접 다운로드 받는다.
1. 추출: [http://www.7-zip.org/ 7zip]을 이용해서 필요한 파일을 추출한다.
1. 업로드: FT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usr 폴더를 통째로 서버에 업로드 한다. ssh에서 "pwd" 명령어로 절대 경로를 확인한다. 내 경우에는 {{{/home1/moniwiki/public_html/wiki/usr/bin}}} 이었다. 그리고 폴더 권한이 실행할 수 있는 수준인지 확인한다. 잘 모르겠으면 폴더, 파일에 777권한을 주면 된다.
1. 경로설정: config.php를 열어서 path 설정을 추가한다. {{{$path='?:./usr/bin:/usr/local/bin:/usr/bin:/bin:/usr/X11R6/bin';}}} ? 위치에 절대경로를 추가한다.
1. 실행확인: ssh에서 해당 폴더로 이동한 뒤, {{{./rcs -v}}} 명령어를 입력한다. 버전이 나오면 ok. {{{-bash: ./rcs: /lib/ld-linux.so.2: bad ELF interpreter}}}와 같은 에러가 나온다면 fail. 이 에러는 root 권한이 있어야 해결가능하다.
1. 참고: [http://dev.naver.com/projects/moniwiki/issue/93836 참고1], [http://dev.naver.com/projects/moniwiki/issue/95950 참고2]
== 같이 보기 ==
* [[호스팅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