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모니위키의 장단점 #keywords Moniwiki, 장점, 단점, Wiki, Fast, Easy, Keywords, Category, Help, Page [[TableOfContents]] /!\ 오프라인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니위키 StandAlone 버전은 제외했습니다. == 장점 == ===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하다. === (전략) "아! 모니위키가 정말 편리하구나~"라는 것은 [["모니위키 설치부터 시작까지"]]라는 고개를 하나 넘고 모니위키 문법을 어느정도 깨우친 이후에나 알게 되리라. === 빠르다. === 원래 위키가 빠르긴 하지만 빠른 인터넷 망이 거미줄 처럼 깔려있는 한국의 웹 환경 + 빠른 웹 브라우져(구글 크롬) 덕분에 오프라인으로 작업하는 것만큼 빠르게 편집/열람할 수 있다. [[도쿠위키]]보다 약 56% 더 빠르다?! (MoniWiki:MoniWiki/BenchMark) === 인터넷으로 어디서나 접속 가능 === 위키 주소만 알고 있다면 어디서~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때로는 자신의 PC에 설치하거나, USB에 저장해서 보안을 강화할 수도 있다. === 협업이 가능하다. === 음음음...이 부분은 좀더 생각해보고 정리... -- 위키에는 버전관리 기능이라는 것이 있어, 페이지 되돌리기가 가능하다. 협업-- === 글의 서식이 깔끔해진다. === 위지윅 에디터에서 글을 작성하는 것이 더 편리하지만, 정작 필요한 부분을 수정할 때 내가 의도하지 않는 방향으로 서식이 지정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하지만 위키에서는 그런 걱정은 전혀 없다. == 단점 == === 위키 문법을 배워야 한다. === [위키] 중에서도 가장~ 사용하기 편한 위키라고는 하지만, PC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는 일반인이 제대로 설치할 수 있을 리가 없다. 고생고생해서 설치했다고 해도 위키 문법에 한번 더 좌절하게 되고, 다시는 위키를 사용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크다 -ㅅ-; 이런 사람의 경우 [:에버노트 에버 노트], [:구글노트 구글 노트], [:%EC%8A%A4%ED%94%84%EB%A7%81%EB%85%B8%ED%8A%B8 스프링 노트] 같은 웹 노트나 [위키아], [:%EC%9C%84%ED%82%A4%EB%8F%85%EC%8A%A4 위키 독스], [:조호노트 조호 노트], [웻페인트], [:소셜텍스트 소셜 텍스트] 등의 위지윅 기반의 위키 혹은 블로그를 먼저 접하게 함으로써 거부감을 줄여주는 게 중요하다. 각 서비스의 특징과 서비스에 대해 알게 되면 위키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리라. [[BR]] [[BR]] ▶▶▶ 이런 한계를 없애기 위해 [http://moniwiki.kldp.org/wiki.php/WikiWyg?action=highlight&value=Wysiwyg 모니위키 내부에 위지윅 에디터를 추가하는 것]을 현재 개발 중이라고 한다. 1.1.3 cvs를 설치하면 사용할 수는 있다고는 하지만, 기존 1.1.2에 덮어씌워도 데이터는 보존되는 지 궁금하다. 시간내서 일단 다른 폴더에 설치해 볼 생각이다. === 위키 도움말이 부실 === [모인모인위키]의 클론이라 도움말이 없어도 된다고 생각이었을까? 모니위키를 설치하면 기본 도움말이 영어이고, 설명도 그리 자세하지 않아서 모니위키를 제대로 사용하기가 상당히 힘이 든다. 그나마 있는 도움말들은 여기저기 분산. 도쿠위키가 더 편해 보이지만, 한글 검색 결과가 영 맘에 안들어서 모니위키로 끝까지 밀어붙일 생각이다. 모인모인 쓰는 게 어떻겠냐고? ...모인모인 위키 설치하다가 포기하고 선택한게 바로 모니위키다. === 서버 속도가 곧 위키 속도 === 설치형이라 서버 속도가 느려지면 기존 외국 서비스형과 별 차이가 없어진다. 어떻게 보면 기능을 익히는 시간이 필요한 모니위키보다, 위지윅 에디터 등의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조호위키], [피비위키]를 사용하는 것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다만 데이터나 관리 주도권을 뺏긴다고 생각한다면 설치형을 쓰는 수 밖에는 없지만 말이다. 블로그 역시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 애매한 페이지 관리 === [카테고리], [키워드] 등을 지원하지만 삽질을 좀 해야한다. 흔히 우리가 생각하는 트리 형식의 카테고리와는 조금 방식이 다르다. 어떻게 보면 심플하게 문제를 해결했다고 볼 수 있지만, 처음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하지 그지 없는 시스템. 키워드는 더한 삽질이 필요하다. 키워드 [매크로]를 이용하면 해당 페이지의 키워드를 자동으로 정리해 주지만 의미없는 단어가 많이 섞여 있기에 action을 사용해서 일일이 수정해 줘야한다. [[BR]] [[BR]] ▶▶▶ 하지만 제대로 정리해 준다면 원하는 페이지를 찾는 데 도움이 많이 된다. 그게 힘들어서 그렇지 뭐. === 고아 문서 및 방치된 문서 발생 === 어디에도 링크되지 않은 페이지를 고아 문서 혹은 고아 페이지라고 부른다. 모니위키에서는 이러한 고아 페이지를 알려주는 기능이 없다. 또한 기껏 작성해 놓은 페이지가 관리자의 망각으로 잊혀지는 경우가 많다. [모니위키]에서는 RandomPage 단축키 'a'를 눌러 위키 문서 전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모니위키/1.1.6]]부터 고아 문서 기능이 추가된다고 한다. ([http://kldp.net/tracker/?group_id=210&atid=354010&func=detail&aid=315774 #]) === 초보자는 사용하기 어렵다. === 클릭만으로 대부분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도쿠위키]와는 달리, [모니위키]는 텍스트 명령어 사용빈도가 높다. [[Linux]] 혹은 [[Dos]] 등의 커맨드 명령(?) 방식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불편할 수 밖에 없다. ---- [[Navigation(모니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