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결심 ¶
라식의 부작용에 대해서는 익히 들었으나, 이제는 그만 안경에서 벗어나고픈 욕망에 라식 수술을 결심했다.
일단 라식 수술이 성공하면, 코를 짓누르는 안경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더 이상 비싼 돈 주고 도수있는 물안경 / 선글라스를 구입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아침에 일어났을 때 안경이 어디갔는지 몸개그를 하지 않아도 된다.
2. 검사 ¶
시력, 안압, 각막 두께 등등을 확인. 평균 각막 두께는 510~530 수준이며, 그나마 나는 520으로 넉넉한 편이라고 한다.
그리고 나는 눈이 나쁜 편이라, 각각 91, 97 정도를 잘라내야 0.9~1.0 수준을 맞출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나는 눈이 나쁜 편이라, 각각 91, 97 정도를 잘라내야 0.9~1.0 수준을 맞출 수 있다고 한다.
그 다음으로 동공을 확장시키는 안약을 맞은 후, 동공 전체 상태를 확인했다.
먼 거리는 괜찮은데, 가까운 곳은 초점이 흐려지고 야외에서 직사광선을 받으니 눈이 부셔서 제대로 눈을 뜰 수 없었다.
한 3~4시간은 그 상태가 유지된 듯.
먼 거리는 괜찮은데, 가까운 곳은 초점이 흐려지고 야외에서 직사광선을 받으니 눈이 부셔서 제대로 눈을 뜰 수 없었다.
한 3~4시간은 그 상태가 유지된 듯.
3. 수술 예약 ¶
업무 일정 및 건강상태를 감안해서 수술은 다음 주로 예약했다. 직사광선을 바로 받으면 각막 혼탁이 올 수 있으니, 챙이 있는 모자 혹은 선글라스를 챙겨와야 한다는 설명을 들었다.
4. 수술 결행 (으악) ¶
물에서 눈을 뜨지 못하며, 어릴적부터 눈이 피곤한 일이 많았다는 사실에서 수술 느낌이 어떨지 짐작했어야 했다. 눈커풀을 고정하는 순간부터 몸에 힘이 꽉 들어가며 (분명 힘을 풀고 편한하게 있으려고 노력했다) 심장이 쿵쾅쿵쾅 거렸다.
눈은 정면의 붉은색 점을 응시하고 있으니 눈 위에 뭔가 마구뿌려진다. 이 때만큼은 내 눈이 아니라 자동차 와이퍼를 보는 듯 했다.
다음으로... 각막을 포 떠내기 전에 무언가를 눈 위로 꽉 눌러댈때에는 마음 속으로 비명을 질렀다. '으아아악 뭐 하는 짓이에요!?' 그리고 블랙아웃 다음에 이어지는 톱 돌아가는 소리는 정말 공포스러웠다.
각막을 쓱 벗겨내니 붉은색 점이 더욱 흐릿하게 보인다. 레이저로 동공을 지질때는 뭔가 타는 냄새(기분탓일까)가 났다. 의사는 다시 눈커풀을 덮고 각종 약물 투여 후, 붓(?) 같은 도구로 각막 위를 쓱쓱 훑었다.
왼쪽 눈이 끝나고 다음은 오른쪽 차례. (으아악!)
15분간의 짧은 수술이 끝나고서야 내가 몸에 힘을 꽉 주고 있었다는걸 의사로부터 전해들었다. 몸이 경직되어 있으니, 혹시나 뭔일 생길까 싶어서 보호렌즈를 씌워놓았다고 한다. (원래 라섹할때만 보호렌즈 씀)
이후 눈을 작게 뜬채로 집으로 귀가. 화장실에서 눈이 잔뜩 충혈된걸 보고 실내에서도 썬글라스를 쓰고 다녔다. 그대로 다녔다가는 더 이상하게 보지 않았을까.
귀가 후에는 4가지 안약을 투척하고 잠만 잤다. 아직은 시야가 흐릿하고 초점도 잘 안 잡힌다.
5. 2일차. 매크로 접사 기능 상실 ¶
뭔가 눈에 성능 떨어지는 렌즈를 끼운 것 같다. 20cm 이내는 초점이 안 맞는다. 그 이외는 잘 보이지만, 안경 쓸때와 비교하면 정확도 및 선명도가 뒤쳐진다. 안경 쓸때는 그리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볼 수 있었는데, 지금은 눈에 힘을 풀고 멍하니 있으면 자동으로 시야가 흐릿해진다. 다시 눈에 힘주면 선명해진다.
그리고 안약을 넣어도 시야가 흐리다. 보호렌즈 때문일까? 뭐 내일 병원에 가보면 명확하게 알 수 있으리라.
6. 3일차. 업무 시작 ¶
빛번짐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단순히 눈물이 각막에 제대로 도포가 안되어 그런건지, 동공위에 씌워놓은 보호렌즈 때문인지 알 길이 없다. 만약 이게 부작용이라면 난 야간 운전은 아예 포기해야 하리라.
모니터를 봐도 빛이 번져보이는 느낌이라, 눈에 힘을 꽉 주고 글씨를 보고 있다. 계속 PC로 업무를 진행해야 하는 이상, 이걸 극복할 수 없다면 난 x된 거다.
7. 4일차. 보호렌즈 제거 ¶
병원에 방문해서 간단한 검사를 받고, 드디어 보호렌즈를 제거했다. 렌즈가 자꾸 눈 여기저기 움직이는 것 같았고, 앞에 안개가 낀 것마냥 뿌연 것이 영 맘에 안들었었다. 렌즈에서 벗어나니 보다 밝고 선명한 세상이 날 맞이했다. 그렇지만 빚번짐과 눈의 피로는 여전하다. 얼마나 더 있어야 멀쩡해 지려나....
그리고 긴 속눈썹이 영 거슬린다. 안약을 넣을 때 튕겨내는 건 기본이고, 자꾸 안구를 찌르는 것 같다. 손가락으로 치우자니 수술부위 건드릴까봐 걱정이고...잘라버릴 수도 없고 참 고민이다.
8. 5일차 ¶
눈은 여전히 피곤하지만, 전날보다는 확실히 좋아졌다. 그러나 작은 글씨가 잘 안보인다거나, 시야가 때때로 흐려지고, 초점 맞추는 게 느리다거나 하는 문제는 여전하다. 눈이 회복되는 게 빠를까, 아니면 내가 적응하는 게 빠를까?
9. 6일차 ¶
아침에 일어났을 때 눈이 뻑뻑한 정도가 많이 좋아졌다. 다만 오늘은 희안하게도 시야가 뿌옇다. 안약을 넣어도 그런걸 보면....뭔가 막을 형상하는 것 같다. 안경알이 오염되었을 때와 비슷한 상황이다. 당장 안약을 넣는 것 이외에는 방도가 없으니 지켜볼 수밖에.
10. 7일차 ¶
시력에도 편차가 있다. 회사에서 일할 때는 앞에 안개가 낀듯한 느낌을 자주 받는다. 인공눈물을 넣으면 좀 나아지지만, 다시 악화된다. 그리고 어두운 곳에서 시력 저하가 다소 발생하며, 빛번짐이 있다.
퇴근 후에는 상태가 좋아진다. 혈청 안약[1] 덕분인지, 아니면 단지 스트레스를 덜 받는 상황이라 나아진 건지 알 수 없다.
----
- [1] 내 피를 원심분리해서 뽑아낸 혈청을 안약과 섞는다. 단백질 응고/변질을 막기위해 냉장고에서 보관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