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월간 == === 구독 === * 넷플릭스 * 14,500원 (연간 174,000원) -> 4인 파티원을 운영할 경우 43,500원으로 절약가능하다. 21년도부터 넷플릭스에서 계정공유를 단속하고 있기에 점점 파티 구하기가 어려워질 것이다. 즉, 필요한 기간에 가입해서 보는 것이 좋다. * 넷플릭스는 해지 후 10개월동안 사용자 시청기록을 보관한다. * 리디셀렉트 * 6,500원 (연간 78,000원) * 잘 이용하면 참 좋은 서비스 * 도서관에서 책을 볼 수 있으나 불편하다. 사람은 많고 책은 한정되어 있다. 도서관까지 왕복 교통비도 무시할 수 없다. 요즘같은 코로나 시즌에는 도서관 시설도 이용할 수 없기에 더더욱 메리트가 없다. * 유튜브 프리미엄 * 10,450원 (연간 125.400원) * 의존도가 굉장히 높은 유튜브의 광고를 없앨 수 있으며, 백그라운드 재생이 가능하다. 가입하면 그만큼 편리한 서비스. PC버전에서는 광고를 없앨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하기에, 굳이 구독할 필요는 없는 계륵같은 서비스. === 휴대폰 요금 === * 알뜰폰 요금제 통화 무제한 / LTE 무제한 (일정용량 초과시 속도제한) * 월 3.3만원 * 알뜰폰 요금제는 대개 약정이 걸려있지 않다. 그래서 6개월~1년마다 주기적으로 좋은 조건을 찾아 이동하는 것이 유리하다. 참고로 유심은 잘 보관해뒀다가 다음번 번호이동때 사용하자. * 통신사 중에서 KT계열은 피하자. LTE 속도가 느리기로 유명하다. === 인터넷 요금 === * 속도 100Mb, 월 2.2만원 (연간 264,000) * 속도는 기본으로도 충분하다. 단, 순간반응속도가 중요한 게임을 즐긴다면 1~2단계 높은 요금제를 선택하자. * 집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시간이 짧으며, IPTV등을 보지 않는다면 휴대폰 핫스팟을 사용하면 연간 264,000원을 절약할 수 있다. 다만 휴대폰 배터리 수명이 빠르게 줄어든다. (배터리 사용횟수 증가, 발열 등) === 집 관리비 (수도세, 전기세 포함) === * 월 7~9만원 (혹한/혹서기 비용추가) * 편안한 삶을 위한 필수 비용 * PC를 노트북으로 변경하는 등 가전제품 변경으로 전기세를 아낄 수 있다. * 에어컨, 보일러등은 가능한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끼다가 건강해치고 병원비가 더 나간다. === 유류비 === * 최소 8만원 (출퇴근) * 추가비용 2~10만원 (주말에 놀러갈 경우) * 저렴한 주유소를 찾는다. === 실손 및 생명보험료 === * == 연간 == === 자동차세 === 매년 1월(1월 16일~31일)에 자동차세를 미리 납부하면 9.15%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 자동차 보험 === 주행거리에 따라 비용을 산정하는 "캐롯자동차 보험" 추천 === ===